@yisrisri: ✨️삼차함수와 사차함수 비율관계✨️ ✅️ 삼차함수 비율관계 (1) 삼차함수에 평행한 두 접선을 그었을 때, 총 5개의 점들(각 접점, 곡선과 다시 만나는 점, 변곡점) 사이의 간격은 항상 일정합니다. 변곡점을 제외하고 <2:1>만 기억해두셔도 됩니다. ✅️ 삼차함수 비율관계 (2) 삼차함수의 변곡점을 지나는 임의의 직선 (변곡접선 제외)과 평행한 두 접선을 그었을 때 생기는 점들의 관계입니다. <1:루트3> ✅️ 사차함수 비율관계 -첫번째 그림은 극점이 1개인 사차함수의 두 변곡점 중에 극점에서 멀리있는 변곡점에서의 접선을 그었을 때 상황입니다. 그냥 그림처럼 접선의 기울기가 0일때 (삼중근)만 생각하셔도 됩니다. <3:1> -두번째 그림은 평행한 두 접선을 그었을 때 생기는 점들 사이의 비율입니다. (막상 저는 근데, <2:1>하고 <3:1>만 쓰는 편....😅🤫) #이슬샘 #수학강사 #고등수학 #수2 #미분 #고2 #고3 #05 #06 #07 #공스타 #공스타그램 #수미사 #수학에미친사람들길음미아관